본문 바로가기

자료실/게임 개발 용어 사전

[용어사전] 가챠 / Gacha (작성중)

가챠

gacha, ガチャ


비디오 게임에서의 "가챠 모델" 및 가챠가 포함되어 있는 "가챠 게임"을 주 내용으로 다룬다.

 

정의 및 특징

비디오 게임에서 가챠 모델은, 게임 내의 화폐를 이용하여, 랜덤한 종류의 캐릭터나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캐릭터를 획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하 가챠로 획득하는 상품을 캐릭터로 통일하여 서술한다)

가챠 게임은 이러한 가챠 모델을 포함하고 있으며, 보통 게임 내의 플레이 진행에 있어 중요한 캐릭터나 아이템을 이러한 가챠 메커니즘으로만 획득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경우 F2P (Free to Play)이며, 가챠를 위한 재화 구매를 유도한다.

 

한국에서는 뽑기, 랜덤박스 또는 확률형 아이템으로 부르기도 한다.

영미권에서는 "Loot box"라는 개념이 가챠와 비슷한데, 약간의 차이점이 있는 듯하다.

(조사 필요)

 

어원

"가챠"란 용어는 일본의 캡슐토이 자판기인 "가샤폰(Gashapon, ガシャポン)"에서 유래하였다.

동전을 사용하여 캡슐로 포장된 장난감을 얻을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장난감 중 랜덤으로 하나를 얻을 수 있는 형태이다.

제작사마다 상호가 다른데, 타카라토이는 "가샤폰(ガシャポン)", 반다이는 "가챠(ガチャ)"를 사용한다(그래서 가챠, 가챠폰, 가샤폰 등이 혼용되는 듯하다).

가챠(ガチャ)/가샤(ガシャ)는 자판기 레버를 돌리는 소리를, 퐁(ポン)은 캡슐이 트레이에 떨어지는 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이다.

 

종류

널리 쓰이는 여러 가챠 메카닉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일본 위주 서술).

 

1. 컴플리트 가챠 (or 수집형 가챠) / Complete Gacha / コンプリートガチャ

* 약칭: 콤프 가챠 / Kompu Gacha / コンプガチャ

가챠로만 얻을 수 있는 특정 세트의 캐릭터를 모으면 더욱 희귀한 캐릭터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본에서는 콤프 가챠가 지나친 사행성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2012년부터 금지되었다.

 

2. 박스 가챠 (or 패키지 가챠) / Box Gacha (or Package Gacha) / ボックスガチャ (or パッケージガチャ)

상자 안에 여러 종류의 정해진 수량의 캐릭터들이 들어 있어 최대치의 가챠 횟수가 정해져 있고, 상한선 내에 희귀한 아이템을 확정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한 가챠이다.

정해진 수량이 있다는 점에서 실제 가챠폰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3. 스크래치 가챠 / Scratch Gacha

 

 

4. 스텝업 가챠 / Step-up Gacha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가챠로, 각 단계마다 특정 등급 등장 확률 증가, 연차 재화 감소, 추가적인 아이템 획득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마지막 단계의 스텝을 완료했을 경우 종료되는 경우도 있고, 다시 처음부터 스텝이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5. 스고로쿠 가챠 / Sugoroku Gacha

 

기타 용어 및 관련 내용

1. 천장

가챠를 할 때 마다 마일리지나 게이지가 생겨, 확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파치스로의 천정(天井) 시스템과 흡사한 시스템이다.

파치스로(パチスロ)는 파칭코형 슬롯머신(パチンコ型スロットマシン)의 약어로, 일본의 파칭코에 비치된 슬롯머신을 뜻한다.

이 파치스로 기기에는 천정이라는 시스템이 존재하는데,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반드시 당첨이 되는 메커니즘이다.

(ex) 1000 게임 동안 당첨이 되지 않을 경우 반드시 당첨

(천정이라는 용어가 이전부터 존재하였는지는 알 수 없어, 더 조사가 필요하다)

 

2. 픽업 가챠

평상 가챠보다 특정 캐릭터(들)을 얻을 확률이 높은 가챠를 뜻한다.

보통 신규 캐릭터나 한정 캐릭터들 출시와 동시에 해당 캐릭터들을 대상으로 픽업 가챠 이벤트가 열린다.

 

3. 도부

가챠에서 나쁜 결과가 나왔음을 뜻하는 용어이다.

 

이는 일본의 속어 도부루(ドブ)에서 유래하였다.

도부루는 "무의미한 것에 돈을 쓴다"는 뜻의 관용구인 "돈을 하수구에 버린다"에서 태어난 일본의 신조어이다.

도부(どぶ)는 본디 하수구를 뜻하는 단어로써, 여기에 동사형 어미 '-る'를 붙인 것이다.

가챠 게임에서 쓰이는데, 가챠에서 원하는 것이 나오지 않으면 돈을 하수구에 버리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특히나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게임 유저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어 널리 퍼진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유저 사이에서는 도부+러브라이브를 합쳐 "도부라이브"라 불리기도 한다.

 

4. 리세마라

게임에서 원하는 결과가 나올때까지 계속 리셋하는 것을 뜻한다.

 

일본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이 마라톤과 같기 때문에 리셋 마라톤이라 부르며, 이를 줄여 리세마라(リセマラ)라고 칭한다.

한국에서는 리셋 노가다로 순화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가챠 게임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이다. 가챠 게임에서는 초반에 가챠를 위한 기회나 재화를 무료로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통해 가챠를 하여 최고급(5성이나 SSR등) 캐릭터를 뽑기 전까지 리셋하는 것이다.

 

5. 연차 (Consecutive Gacha)

한 종류의 가챠를 여러 번 연속하여 뽑는 것이다.

이와 반대되는 용어로는 단챠가 있다.

 

가챠를 여러 번 뽑는 편의성을 위해서 기능을 구현한 게임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연차를 할 경우 유저에게 이득을 주는 경우가 많다.

그 내용은 주로 다음과 같다 (여러개가 복합적으로 나타날 때도 있다).

 

1. 소비되는 재화가 동일 수량의 단챠보다 적다

(ex) 10% 할인

2. 가챠 1회를 추가적으로 더 제공한다

(ex) 10연차시 + 1

3. 특정 등급 이상이 확정적으로 등장한다

(ex) 연차시 SR 이상 확정

4. 특정 아이템/재화를 추가로 제공한다

(ex) 5연차시 부스트 3개 증정

5. 천장 게이지를 제공한다.

(ex) 연차시 확정 게이지 10% 증가

 

6. 등급 / 레어도

일반적으로 가챠 게임에는 희귀(레어)도를 나타내는 등급이 있으며, 주로 쓰이는 분류는 다음과 같다.

1. SSS, SS, S, A, B, C, D, E, F

2. UR, SSR, SR, R

3. 6성, 5성, 4성, 3성, ...

 

하위에서 상위 등급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 보통 태생 등급 (가챠에서 뽑을 때의 등급)이 높을 수록 동일 등급선상에서의 기본 능력치가 높은 편이다.

 

7. 등급표 (Tier List)

게임 내의 레어도와 별개로, 능력치나 유저가 체감한 성능을 기준으로 하여 순위를 나타내는 표이다.

티어 1~5, S~F 랭크 등으로 순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레어도 내에서 성능을 평가하며, 다른 레어도일 경우 별개로 등급표를 작성한다.

 

8. 가챠 연출

가챠를 하면 결과의 성공도를 예상할 수 있는 연출(이펙트, 애니메이션 등)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가챠 연출이 파칭코의 '신뢰도(信頼度)'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는 글을 발견하였다.

 

정리

내용

 


연관된 게시물

  •  

 

참고자료/같이 읽기 좋은 글

느낀점

  • 가챠에 대해 조사하면 조사할 수록 이것이 도박에서 굉장이 많은 요소를 차용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천장' 용어가 파칭코 용어에도 있다는 걸 알고 깜짝 놀랐던...
  • 가챠 모델이랑 가챠 메커니즘 중 어떤 식으로 써야 될지 조금 혼돈이 왔었는데 일단은 모델로 통일해서 서술했다
  • 도부의 어원을 찾아보려고 일본어 원문을 찾아보는데, 구글 번역이 어색해서 원문 보고 해석하느라 조금 헤멨었다